[언론소식] 강건욱 교수, 日 오염수 방류 관련 제언
"원전 사고 때 오염수 여과 없이 방출, 안전성 이미 검증"
중앙선데이
입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방사선 권위자’ 강건욱 교수 진단
25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오른쪽)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우리나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이미 검증됐다. 하지만 방류에는 반대한다. 공포심리로 국민의 어류 섭취가 줄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강건욱 서울대 핵의학과 교수는 일본 근해의 환경오염 문제를 우리나라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처럼 일반인들이 오해해 우리 어민이 피해를 보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핵의학은 방사선을 이용해 인체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전문의학 분야다.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강 교수가 가장 권위자인 셈이다.
- 오염수 방류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 “이건 초유의 사실이 아니라 이미 검증된 문제다. 다핵종제거설비(ALPS)가 하나도 작동 안해도 우리나라는 안전하다는 게 확인됐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이후 2년간 ALPS 자체가 없었다. 오염수가 여과없이 그대로 방출된 거다. 그땐 향후 30년간 천천히 방류하겠다는 것의 1000배 정도의 방사성 물질이 나왔다. 방출된 물질은 이미 태평양에 흩어져 확산됐고, 그로부터 12년이 흘렀다. 지금 측정해봐도 우리나라는 안전성에 이상이 없다는 데 변함이 없다. 일부 극미량의 방사능 물질이 1경 분의 1정도로 희석돼 우리나라로 온 것으로 시뮬레이션이 돼 있다.”
- 방사능 수치 변동이 없다는 뜻인가.
- “2005년부터 매년 동해·서해·남해 여러 포인트에서 해조류와 어폐류를 대상으로 소량이어도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는 세슘·스트론튬·삼중수소 등을 측정해왔다. 결과는 해수부 사이트 해양환경정보포털에 다 공개돼 있다. 유의미한 변화가 없다. 다만 지금까지 이에 대한 설명이 없었을 뿐이다. 그런데 지금은 그때보다 1000분의 1 가량을 방류하는데 공포감만 조명된다. 되레 ALPS 작동여부는 후쿠시마 주민과 어민이 걱정할 사안이다. 실제로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 어민들이 우려하는 건 이해가 간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안전한데도 정치 소재로 이용되면서 국내 어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 한국이 지리적으로 가깝지 않나.
- “해류로 보면 사실 한국이 사실 가장 멀다. 미국보다도 멀다. 후쿠시마에서 미국 서부, 적도를 거쳐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을 끊임없이 부정하고 있다.”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 한국이 직접 검증하는 수단이 없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검증은 사실 일본 국민의 우려가 커서 요구한 절차다. 도쿄전력만 믿을 순 없으니 객관적 검증절차로 IAEA를 둔 것이다. 실제 지난 1년간 도쿄전력이 샘플링하는 방식이 아주 정확하지 않아 IAEA가 그걸 다 보강했고, ALPS로 걸러내는 대상도 63종으로 더 늘렸다. 시료 채취도 도쿄전력이 하지만 IAEA가 같이 가서 모니터링한다. 이후 미국·프랑스·중국·러시아 등 각국이 교차 검증을 한다.”
- 직접 확인할 순 없으니 불안한 건 있다.
- “그래서 직접 모니터링을 한 적도 있다. 2015년 일본에 소비자단체, 식약처와 동행해 일본 수산청과 홋카이도, 이와테, 아오모리 등 어촌에서 일본 생선을 직접 가져와 검증했다. 중간에 생선을 바꿔치기 할까봐 새벽 4시 배가 하역할 때 동영상을 찍으며 가져왔는데, 일본 수산청과 우리 식약처가 동시 측정했을 때 기준치 이하로 안전했다. 그런데 발표는 못 했다.”
- 일각에선 극미량 피폭이라도 위험한데 굳이 방류해야 하냐고 반발한다.
- “핵의학과를 전공한 입장에서 봤을 때, 육상에 그대로 방치하는 게 사실 인간에게 더 위험하다. 바다에 방류하면 희석돼버리기 때문에 더 안전하다. 육상에 놔두면 쓰나미나 지진 등으로 그대로 유출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고, 육상에 노출될 시 대부분 기화돼 공기 중 수증기 형태로 인체에 들어온다. 2011년 후쿠시마 사고 때도 우리나라에서 방사선이 측정된 적이 있는데, 공기로 방출된 것이 기체로 날아왔기 때문이다. 바다로 버려진 건 측정이 안 됐다. 물론 일본 앞바다엔 영향이 없을 리 없다. 하지만 현재 오염된 곳을 제외하곤 일본 다른 해역의 우럭 등 수산물은 정상화됐다.”
- 안전하다니 방류해도 되는 것 아닌가.
- “반대한다. 안전해도 공포심리가 작용하면 수산물을 안 먹게 된다. 분명 방사성 물질이 많이 들어있을 거라 하면서. 어류 섭취가 줄면 의학적으로 전체 사망률을 증가하게 돼 있다. 어류 대신 육류 섭취로 치우칠텐데 그렇게 되면 일단 심혈관 질환 등으로 암 발생률이 증가한다. 국내 현대인의 암 발생률만해도 38%에 달한다. 생선 등 어류는 암 예방 효과가 있다. 결국 공포심리로 사망률이 올라가는 거다. 2011~2013년 당시에도 실제 수산물을 기피하는 현상이 일어난 적이 있다. 그리고 2013년처럼 ‘급식에서 수산물을 아예 제외해야 한다’는 논란이 다시 일고 있다. 가장 우려했던 부분이다. 안 그래도 적은 어패류 섭취량이 더 줄게 된다. 사실 방류된 오염수에 포함된 극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국내에 들어오기까진 방류 후 7년이 지난 뒤인데, 사람들은 공포심에 실제 방사성 물질이 전혀 들어오지 않는 방류 후 1~2년 간 수산물 섭취를 금하다 시간이 지나 해당 오염수가 흘러 들어오게 되는 때에는 정상 섭취를 한다.”
- 그럼 정부가 반대해야 하나.
- “사실 방류를 하든 안 하든 입증된 안전성엔 변함이 없지만, 일단 방류를 하지 않으면 수산물은 섭취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공포심이 여전히 있는 한, 정부가 방류를 반대하면 국민 심리는 오히려 ‘방류는 역시 위험한 것이었어’라고 역설적으로 더 확신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을 수도 있다. 결국 정치적으로 공포심을 이용한 게 국민에겐 피해를 준 셈이다.”
신수민 기자 shin.sum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