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단소식] 최신 캠코더 및 제반부속 장비 대여2022-01-21 l 조회수 88대학원혁신사업단의 [Global Joint Lab 연구시설·장비 지원]에 선정되어 온라인 강의 및 회의용 장비 대여 관련 안내 드립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 강의 및 회의 등이 많은 현재, 적절한 장비 부족 및 참여교수님 연구실이 연구관·의과학관·융합관 등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음에 따라 온라인 진행에 적절한 장비들을 신청하여 선정 되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최신 캠코더 및 제반 부속(3set)이 연구단 행정실에...[사업단소식] SNU의생명과학단 유튜브 채널 개설 안내2021-04-20 l 조회수 159['BK21 SNU의생명과학단 ' 유튜브 채널 개설 안내] SNU 의생명과학단 유튜브 채널이 개설 되었습니다. BK21 SNU의생명과학단은 물론 의과학과 홍보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홍보 부탁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oG2TC-faPL8ypN8kLEBnVw[언론소식] 염진기 교수, 난치성 다제내성세균 항생제 개발 사업 최종 선정2023-05-23 l 조회수 11서울대 의대 염진기 교수 난치성 다제내성세균 항생제 개발 사업 최종 선정 [베리타스알파=박원석 기자] 서울대는 의과대학 염진기 교수가 보건복지부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의 '난치성 다제내성세균 항생제 개발' 사업에 최종 선정돼, 신규 항생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주)앰틱스바이오와 수행하며 난치성 다제내성세균 중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ii)에 효과적인 항생제 개발을 목표로 한다.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은 국제보건기구(WHO)와 미국...[교육동정] 2023년도 1학년 강의평가 방식 개선2023-05-15 l 조회수 122023년도 1학년 강의평가 방식 개선 허연주 교수(의학교육실) 강의평가는 각 강의 또는 교과목의 장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대학교육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강의평가 형식과 내용이 보다 정확하게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교수와 학교 측에 강의평가 결과를 전달하여 실제적인 개선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하기에, 보다 효율적인 강의평가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동안 강의평가는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빈도수를 줄이고, 시험을 마친 뒤 수기로 작성하여 제출하고 퇴실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였으...[연구동향] Associations between modifiable risk factors and changes in glycemic status among individuals with p...2023-05-15 l 조회수 9Associations between modifiable risk factors and changes in glycemic status among individuals with prediabetes Diabetes Care, 2023 최지엽 교수 (의과학과,교신저자) Salma Nabila 학생 (의과학과,제1저자) 당뇨전단계(prediabetes)로 진단된 성인의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뇨전단계는 제2형 당뇨병 및 기타 질병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지만, 정상 혈당으로 되돌아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 따라서 당뇨병 전 단계에서 혈당 변화...[연구동향] Cerebellar nuclei neurons projecting to the lateral parabrachial nucleus modulate classical fear con...2023-05-15 l 조회수 6Cerebellar nuclei neurons projecting to the lateral parabrachial nucleus modulate classical fear conditioning Cell Reports, 2023 김상정 교수 (생리학교실,공동교신저자) 이용석 교수 (생리학교실,공동교신저자) 황경두 학생 (의과학과,제1저자) 이번 연구는 서울의대 생리학교실 이용석 교수 연구팀과 김상정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로, 생쥐의 외측 팔곁핵으로 투사하는 소뇌 핵 신경세포의 동정 및 전기생리학적, 조직학적, 광유전학적 방법 등을 이용한 해당 신경세포의...[연구동향] Changes 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ith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initially ...2023-05-15 l 조회수 19Changes 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ith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initially high-density lipoprotein-high participants Cardiovascular Diabetology, 2023 박상민 교수 (의과학과·가정의학교실, 교신저자) 정석송 교수 (차의과학대학교 정보의학교실, 공동제1저자) 김혜준 학생 (의과학과,공동제1저자) 본 연구진은 2009-2012년 2년 주기의 건강검진을 2회 이상 받고, 기저 HDL 콜레스테롤이 60...[언론소식] 신현우 교수팀 '염증성 대장암의 발병 과정' 을 새로이 밝혀냈다2023-05-10 l 조회수 16서울대 의대 신현우 교수팀 '염증성 대장암의 발병 과정' 을 새로이 밝혀냈다 [베리타스알파=이정원 기자] 서울대 의과대학 신현우 교수 연구팀은 대장염에 의해 유발된 대장암의 발병 과정에서 ITF2의 역할을 규명했다. 장기적인 염증반응은 조직 손상과 리모델링을 촉진하고 유전자 돌연변이를 유발함으로써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종양 억제 유전자의 발현을 막는 후생유전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암 발병과 관련된 유전자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대장암은 염증 질환인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과 종양과의 연관성이 뚜렷하다. 대장암 환자의 약 5...[언론소식] 묵인희 교수, 2023 과학기술진흥 혁신장 수상2023-04-25 l 조회수 22서울대 의대 묵인희 교수, 과학기술진흥 유공자 선정 [서울=뉴시스]허서우 인턴 기자 = 서울대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장 묵인희 교수가 지난 21일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의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진흥 혁신장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인의 자긍심과 명예를 진작 시키고자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헌신한 과학기술 유공자를 발굴해 1975년부터 매년 과학의 날 과학기술 진흥 유공자를 선정해 포상하고 있다. 묵 교수는 치매 분야의 탁월한 연구자로 200여 편의 우수논문 발표는 물론 ...[연구실소개] 표현형분석실험실(Phenotype Analysis Laboratory)2023-04-14 l 조회수 55표현형분석실험실(Phenotype Analysis Laboratory) 조동현 교수 (해부학교실) 의사과학자(clinician-scientist)의 연구는 남들과 달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행을 마냥 따르기 어렵습니다. 또, 과학이 주는 희열에만 취할 수도 없습니다. 의사과학자의 연구는 결국 환자를 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진료하고 연구하는 질환은 어린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망막모세포종(retinoblastoma)과 선천망막질환(inherited retinal disease)입니다. 발병률이 낮다 보니 정책적인 관심을 받지 못하고, 주요 연구에서도 소외되곤 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