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교수

SNU BIOMEDICAL SCIENCE PROGRAM

연구

연구분야
A. 분자신경기능 실험실
신경시냅스 기능 조절,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trafficking, 퇴행성 뇌질환, 자폐증, 우울증
B. 본 연구실은 신경세포 상호간의 연결통로인 시냅스의 기능 및 가소성의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고, 자폐증, 우울증 및 퇴행성 뇌질환에서 발생하는 기억력 퇴화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인간의 뇌는 복잡한 신경회로망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기본 구조는 신경세포간의 연결통로인 시냅스로 이루어져 있다. 시냅스를 통한 자극전달 강도가 유연하게 변하는 것이 시냅스 가소성으로 이는 학습과 기억 및 인지 능력의 토대가 된다. 흥분성 시냅스에서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 체계가 시냅스 가소성 및 기능 조절의 핵심요소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시냅스에서의 이들 수용체의 trafficking, 신호전달, 생산과 분해, 항상성 조절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실은 특히 번역후 수식에 의한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조절, auxiliary subunit등 interacting molecule에 의한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조절, 자폐증/우울증/퇴행성뇌질환에서의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신호전달 이상등의 내용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공분야 핵심단어
Glutamate receptors, Synaptopathy, Synaptic plasticity,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Neurodegenerative disorders

학력

  • 1997 학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 2002 박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면역병리)

주요 경력

  • 2005~2010 박사후연구원, 미국 국립보건원(NINDS/NIH) (신경과학)
  • 2010~2014 조교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2014. 9~ 부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주요 논문

  1. Kang M, Lee D, Song JM, Park S, Park DH, Lee S, Suh YH*. Neddylation is required for presynaptic clustering of mGlu7 and maturation of presynaptic terminals. Exp Mol Med. 2021 Mar;53(3):457-467
  2. Song JM, Kang M, Park DH, Park S, Lee S, Suh YH*. Pathogenic GRM7 mutations associated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impair axon outgrowth and presynaptic terminal development. J Neurosci. 2021 Mar 17;41(11):2344-2359
  3. Park DH, Park S, Song JM, Kang M, Lee S, Horak M, Suh YH*. N-linked glycosylation of the mGlu7 receptor regulates the forward trafficking and transsynaptic interaction with Elfn1. FASEB J. 2020 Nov;34(11):14977-14996
  4. Skrenkova K, Song JM, Kortus S, Kolcheva M, Netolicky J, Hemelikova K, Kaniakova M, Krausova BH, Kucera T, Korabecny J, Suh YH*, Horak M*. The pathogenic S688Y mutation in the ligand-binding domain of the GluN1 subunit regulates the properties of NMDA receptors. Sci Rep. 2020 Oct 29;10(1):18576
  5. Lee S, Park S, Lee H, Han S, Song JM, Han D, Suh YH*. Nedd4 E3 ligase and beta-arrestins regulate ubiquitination, trafficking, and stability of the mGlu7 receptor. Elife. 2019 Aug 2;8:e44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