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교수

SNU BIOMEDICAL SCIENCE PROGRAM

연구

연구분야
본 연구실은 상부 호흡기 질환의 병인의 규명과 새로운 진단 및 치료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다양한 중개 연구(Translational research)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대상 질환은 상부 기도 손상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만성 부비동염 등 상기도 폐쇄 질환입니다. 또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기도 오가노이드를 비롯한 다양안 연구 플랫폼을 활용하여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공분야 핵심단어
Airway Epithelial Remodeling, Intermittent Hypoxia, Obstructive Sleep Apnea, Nasal polyp, Upper Airway Obstruction, Biomarker and Metabolomics

학력

  • 1998-200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2007-2009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학석사(이비인후과학 전공)
  • 2009-2012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의학박사(호흡기약리학 전공)

주요 경력

  • 2005-2009 서울대학교병원 인턴/레지던트 (이비인후과 전문의)
  • 2009-201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연구조교
  • 2012-201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초연구연수의
  • 2013-2014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허혈 저산소 질환 연구소 연구교수
  • 2014-201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조교수
  • 2017-2019 미국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Visiting Faculty
  • 2018-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부교수

주요 논문

  1. DEP-induced ZEB2 promotes nasal polyp formation via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21 (corresponding, IF=10.793)
  2. Bone morphogenetic protein-2 as a novel biomarker for refractory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21 (co-corresponding, IF=10.793)
  3. Antibiotic-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the nasal microbiome and secreted proteome in nasal polyps. Allergy Asthma Immunol Research 2021 (corresponding, IF=5.764)
  4. Effects of Wnt signaling on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in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 Thorax. 2020;75:982-993. (co-corresponding, IF=10.844)
  5. α-Helical cell-penetrating peptide-mediated nasal delivery of resveratrol for inhibition of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J Control Release. 2020 Jan 10;317:181-194. (co-corresponding, IF=9.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