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소식] 박상민 교수팀 "항생제 장기 처방, 치매 위험 높일 수 있어"2022-10-12 l 조회수 342[연구필요성] 치매는 고령인구의 장애와 사망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202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가 5,000만 명에 달했으며, 2050년에는 그 수가 1억 5,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치매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생물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져 ‘다원인성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치매의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항생제 오남용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보건의학적 문제이며...[언론소식] 권용태 교수, FAOBMB 우수연구자상 수상2022-08-17 l 조회수 233권용태 교수(의과학과)가 2022년 FAOBMB Award for Research Excellence를 수상하였다. FAOBMB(Federation of Asian and Oceanian Biochemists and Molecular Biologists)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생화학자 및 분자생물학자 연합회로, 해당 학술상은 2011년부터 FAOBMB 지역 내에서 매년 1명씩 선정하는데, 한국인이 수상한 것은 두 번째이다. 올해 제12회를 맞은 해당 학술상은 한국의 Korean Society for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y (KSBM...[언론소식] 묵인희 교수: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치매 연구 표준 데이터·연구 플랫폼 구축”2022-08-01 l 조회수 351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 지원하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이 치매 연구 표준 데이터와 정보공유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은 “국내 치매 연구의 활성화와 치매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연구 데이터인 TRR(Trial Ready Registry)과 정보공유 플랫폼인 DPK(Dementia Platform Korea)를 국내 최초로 구축했다”고 오늘(1일) 밝혔습니다. 그동안 국내 치매 연구는 데이터의 비표준화 문제와 공유체계의 부재로 연구성과가 제한되는 등의 많은 제약...[언론소식] 강건욱 교수: [AI-META 시대 '미래전략']<16>의료와 원격진료2022-07-24 l 조회수 476[AI-META 시대 '미래전략']<16>의료와 원격진료 2020년 인류에게 닥쳐온 코로나19 팬데믹은 의료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정부와 기업뿐만 아니라 글로벌 협업을 통해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백신을 개발하고 허가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했다. 코로나 감염환자 급증과 방역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행돼 기존 의료 시스템 붕괴가 예상되자 미국에서는 만성질환 등에서 원격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해 환자뿐만 아니라 의사도 재택에서 진료행위를 할 수 있게 했다. 우리나라도 코로나 팬데믹이 장기화되자 비대면 진료라는 이름으로 원격의료를 한시적으로 도입했고 미...[언론소식] 석승혁 교수: 서울대학교 공대·의대, 학제간 융합연구 2022년도 과제 선정식·2021년도 과제 발표회 개최2022-07-18 l 조회수 381[한국강사신문 한상형 기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학장 김정은)과 ‘공대-의대 학제간 융합연구 2022년도 과제 선정식 및 2021년도 과제 발표회’를 7월 11일(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행정관 대회의실 2층에서 개최했다. 2022년 신규로 선정된 과제는 6과제로 아래와 같다.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BNCT)를 위한 인체 내 붕소 분포 영상화 기술 및 선량평가 기법 개발’(공대 원자핵공학과 김기현 교수, 의대 핵의학교실 이재성 교수) △‘종양 전이 미세환경 특이적 마크로파지...[언론소식] 장성호 교수: 3차원 뇌 신경세포 고화질 영상기술 개발...AI 형광 현미경 활용2022-06-29 l 조회수 346<KAIST 개발 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3차원 영상 고화질 복원 모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팀이 장성호 서울대 교수팀, 김기현 포스텍 교수팀과 공동연구로 형광 현미경의 오랜 난제인 '이방성' 문제를 해결, 3차원 영상 화질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방성 문제란 형광 현미경으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할 때 빛 성질 탓에 보는 각도에 따라 적게는 2~3배, 많게는 10배까지도 화질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뜻한다. 연구팀은 수학적 기법인 최적 수송이론에 기반을 둔 새로운 AI 시스템을 개발, 공초...[언론소식] 묵인희 교수: 서울대 연구진, 알츠하이머 '맞춤형 치료법' 개발 단서 발견2022-06-15 l 조회수 306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진과 공동 연구…국제학술지 게재 서울대 의대 묵인희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윤우성 기자 = 서울대 연구진이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진과 함께 알츠하이머병의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 서울대는 의과대학 묵인희 교수 연구팀이 UCL 존 하디 교수 연구팀과 함께 알츠하이머병 '환자 군집'의 세 가지 유형을 규명하고 군집 형성의 원인을 발견해 표적 치료제 개발의 초석을 놓았다고 15일 밝혔다. 인지기능 저하와 신경세포 감소 등을 불러오는 알츠하이머병은 베...[언론소식] 박상민 교수: 뿌연 죽음의 그림자 "미세먼지때 우울증 극단선택 19% 증가"2022-05-25 l 조회수 397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하루 앞둔 지난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인왕산 인근에서 바라본 남산 일대가 중국 네이멍구에서 발생한 황사의 영향으로 뿌옇다. 연합뉴스 미세먼지 오염이 심한 날 국내 우울증 환자의 자살 위험이 맑은 날보다 20% 가까이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세먼지가 신경 염증을 일으키고, 이것이 우울증 증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황인영 교수와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 최대인 연구원 등은 최근 국제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한 논문...[언론소식] 의과대학 한 범 교수 · 정기훈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 통해 신약 개발 표적 찾아내는 '마르코폴로' 알고리즘 개발2022-05-19 l 조회수 378의과대학 한 범 교수 · 정기훈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 통해 신약 개발 표적 찾아내는 '마르코폴로' 알고리즘 개발 2022.05.11. 서울대학교 신진 교수들 중 특히 우수한 연구로 영예의 ‘창의선도 신진연구자’로 발탁되었던 의과대학 한 범 교수, 정기훈 교수 연구팀은 AI (인공지능)을 적용하여 질병의 발생과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마르코폴로’ 알고리즘을 개발해 내었다. 항암 면역치료, 줄기세포 연구 등 주요 의생명 연구분야에서 최근 급부상 중인 단일세포 RNA 시퀀싱 분석법의 획기적 발...[언론소식] 이창한 교수: 코로나 확진자, 18개월 내 백신 1회면 면역 형성 충분2022-05-06 l 조회수 332백신을 맞지 않고 코로나19에 감염됐다면 확진된 뒤 1년 반 안에 mRNA 백신 1번만 접종하면 면역이 충분히 형성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박완범, 최평균, 강창경 교수와 서울대 의대 이창한 교수는 코로나19 확진 후 6개월 또는 18개월 뒤 mRNA 백신을 접종한 43명의 면역반응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확진 18개월 뒤에 백신을 접종하면 6개월 뒤 접종한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면역반응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확진 18개월 뒤 단 1회 백신 접종으로도 오미크론을 포함...